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탄소중립 녹색성장 교통정책 지원사업

본 사업은 일반사업으로 정부출연금 편성시 특정목적으로 편성된 사업입니다.

cn_top_bg.jpg

수송분야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 수송 부문의 2022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98,502 천톤 CO2eq
    • ­부문별로 보면, 도로수송이 95,093 천톤 CO2-eq로 수송 부문의 대부분인 96.5%를 차지
  • 출처

    2024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22) 공표('06 IPCC 지침), 기후에너지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24년 지역 온실가스 배출량(2010~2022) 시범산정 결과, 기후에너지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단위 : 천tCO2eq)

구분 1990 2000 2010 2018 2021 2022
국내항공 824 1,408 1,137 1,594 1,833 1,744
도로수송 31,718 66,270 82,207 95,307 96,011 95,093
철도 974 1,077 618 320 238 200
국내해운 2,481 2,795 2,305 1,038 1,299 1,395
기타수송 464 300 393 505 93 70
합계 36,461 71,850 86,660 96,764 99,474 96,502


수송분야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

그래프>타임슬라이드(시계열)

2012년

[단위 : 천CO2eq]

지역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조회 조건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세요.

수소불화탄소(HFCs)
불연성 무독성 가스로 냉장고 및 에어컨 냉매로 사용됨.

온실가스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스. 제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97)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에서 6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를 감축 대상으로 명문화함.

온실효과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가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들어오는 짧은 파장의 태양 복사에너지는 통과시키는 반면 지구로부터 나가려는 긴 파장의 복사에너지는 흡수하여 지구를 보온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을 말하며 지구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함. 만약 온실효과가 없다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18℃ 까지 내려가 생명체가 살 수 없으며, 온실효과가 지구 평균 기온을 15℃ 정도로 유지하여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게 해 줌. 그러나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온실가스가 공기 중에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됨.

육불화황(SF6)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되는 가스.

이산화질소(NO2)
자극성 냄새가 나는 갈색의 유해한 기체로 과산화질소라고도 함.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에서 배출되며 태양광 하에서 NO와 산소원자(O)로 분리되고 산소원자는 다시 산소분자와 결합해서 오존(O3)를 생성함.

지구온난화지수
대기 중 농도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서로 다른 기체들의 상대적인 복사 흡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공통적인 수단으로 방출 수준을 해석하기 위한 지수임.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대기하층에서 성층권까지의 상대적 가열정도의 척도로 나타내어진 것임. GWPs는 일정기간(보통 100년)동안 1kg의 온실가스가 야기하는 적외선 흡수 능력(가열효과)과 이산화탄소 1kg의 영향에 대한 비율로 측정됨. 복잡한 대기중 화학 반응에 의해 방출된 기체들은 복잡성 때문에 GWPs에 의해 측정되어 왔고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 중심으로 나타내어짐. IPCC는 새로운 회기마다 이 GWP를 업데이트함. 100년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를 1로 볼 때, 메탄은 21, 아산화질소는 310, HFC 1,300, PFC 7,000, 육불화황 23,900 정도가 됨.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